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조선 27대 왕 이름(묘호) 외우기 (태정태세문단세~, 아이돌버전)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조선 27대 왕 이름(묘호) 외우기 (태정태세문단세~, 아이돌버전) 1 месяц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조선 27대 왕 이름(묘호) 외우기 (태정태세문단세~, 아이돌버전)

생성형AI로 제작한 잘 생긴(?) 27대 왕들을 같이 외워볼까요? 자세한 설명은 '더 보기'를 참고해 주세요. 출처 및 참조 : 유튜브채널:유요,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ory.go.kr), 위키피디아(https://ko.wikipedia.org), 모든 이미지는 생성형 AI 미드저니로 만들었으며, 음원은 SUNO로 제작되었습니다. ' ' (( 영상 속 조선(朝鮮, 1392~1910, 518년간) 왕(27대)설명 )) 1. 태조(太祖, 1335~1408) / 재위기간 : 1392~1398 / 휘 : 성계 / 조선건국 1388년 위화도 회군으로 정도전 등과 함께 조선왕조를 세움. 2. 정종(定宗, 1357~1419) / 재위기간 : 1398~1400 / 휘 : 방과 / 왕자의 난 이방원이 주도한 제1차 왕자의 난이 성공한 후, 세자에 책봉되었고 곧 즉위하였음. 이방간이 주도한 제2차 왕자의 난 이후, 즉위 2년만에 방원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이 됨. 정종이 왕자의 난을 일으키진 않았지만, 1,2차 왕자의 난으로 세자-왕-상왕을 겪음으므로 정종 파트에 분배함. 3. 태종(太宗, 1369~1422) / 재위기간 : 1400~1418 / 휘 : 방원 / 왕권 강화 왕권을 강화·유지하기 위하여 정치세력, 공신세력, 관료군의 정치세력 등을 억제·제거함. 4. 세종(世宗, 1397~1450) / 재위기간 : 1418~1450 / 휘 : 도 / 훈민정음 백성들의 삶을 최우선으로 생각했던 세종은 과학, 의학, 농업 등 다양한 분야를 크게 발전 시킴. 1446년(세종 28년)에 반포된 훈민정음의 뜻은 '백성(民)을 가르치는(訓) 바른(正) 소리(音)'이며, 28개의 낱자로 구성되어 있음. 5. 문종(文宗, 1414~1452) / 재위기간 : 1450~1452 / 휘 : 향 / 측우기 설계 측우기(測雨器)는 강우량을 측정하기 위한 우량계로, 1442년 5월 19일, 세종의 명에 따라 당시 세자였던 문종이 고안하고 장영실 등이 제작함. 6. 단종(端宗, 1441~1457) / 재위기간 : 1452~1455 / 휘 : 홍위 / 계유정난 계유정난(癸酉靖難)은 1453년(단종 1) 이방원이 왕위를 찬탈하고자 일으킨 사건임. 계유정난은 이방원이 일으킨 사건이지만, 이로 인해 사육신(死六臣) 사건 등 단종복위운동(端宗復位運動)이 일어나게 되어 단종 파트에 분배함. 7. 세조(世祖, 1417~1468) / 재위기간 : 1455~1468 / 휘 : 유 / 6조 직계제 6조 직계제는 국정 현안에 대해 6조의 장관인 판서가 의정부를 거치지 않고 직접 왕에게 보고하여 업무를 처리하도록 한 제도. 세조(世祖, 재위 1455~1468)가 국왕에 즉위한 이후 다시 왕권 강화를 위하여 6조 직계제를 시행하였음. 8. 예종(睿宗, 1441~1469) / 재위기간 : 1468~1469 / 휘 : 광 / 일찍 죽은 예종은 즉위 후에도 경연과 국무를 게을리 하지 않았고, 『역대세기(歷代世紀)』를 펴냈고 계유정난에 연좌됐던 사람들을 석방하기도 하였음. 재위 14개월 만인 1469년(예종 1) 11월 몸이 병약해져 승하하는 바람에 『경국대전』의 완성 및 반포는 성종대로 미루어졌음. 9. 성종(成宗, 1457~1494) / 재위기간 : 1469~1494 / 휘 : 혈 / 경국대전 경국대전(經國大典)은 조선시대의 최고의 법전으로 조선 세조 대에 편찬을 시작하여 성종 대에 들어 완성, 반포됨. 10. 연산군(燕山君, 1476~1506) / 재위기간 : 1494~1506 / 휘 : 융 / 흥청망청 폭군으로 기록되며 무오사화, 갑자사화 등으로 많은 사람을 죽임. 여자들과 노는 것을 좋아하고 연희를 자주 열어 국가 물자를 낭비함. 잔치에 동원되는 흥청들의 꾸밈 비용과 잔치 음식을 마련하느라 국고가 텅텅 비어 ‘흥청망청’이라는 말이 생겨남. 11. 중종(中宗, 1488~1544) / 재위기간 : 1506~1544 / 휘 : 역 / 기묘사화 훈구세력에 의해 신진 사림 세력이 화를 입게 되는데, 연산군대의 무오사화 및 갑자사화 이후 중종대의 기묘사화가 대표적임. 12. 인종(仁宗, 1515~1545) / 재위기간 : 1544~1545 / 휘 : 호 / 효심 깊은 아버지 중종과 계비였던 문정왕후에게 늘 지극한 효심을 보였다고 하여 그의 능호를 효릉(孝陵)이라고 하였다고 함. 13. 명종(明宗, 1534~1567) / 재위기간 : 1545~1567 / 휘 : 환 / 눈물의 왕 어린 명종을 앞세우고 뒤에서는 수렴청정을 하는 문정왕후와 그 동생인 윤원형이 국정을 농단함. 문정왕후는 수렴청정을 하게 되자 곧바로 윤원형을 고위 관직에 임명하하여 국정의 실세 노릇을 함. 14. 선조(宣祖, 1552~1608) / 재위기간 : 1567~1608 / 휘 : 연 / 임진왜란 1592년(선조 25년)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발발하여 1598년(선조 31년)까지 이어진 전쟁. 4월 30일 선조는 명나라에 가까운 의주로 피난을 갔으나, 의병, 수군 등의 활약으로 나라를 지킴. 15. 광해군(光海君, 1575~1641) / 재위기간 : 1608~1623 / 휘 : 혼 / 중립외교 새로운 강국으로 등장한 후금과 적대 관계를 지지 않고, 임진왜란 때 명의 도움을 받았던 조선은 명나라와의 의리를 져버릴 수 없다고 판단하여 중립 외교 정책을 펼침. 16. 인조(仁祖, 1595~1649) / 재위기간 : 1623~1649 / 휘 : 종 / 병자호란 병자호란(丙子胡亂)은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으로 짧은 전쟁 기간에도 불구하고 전쟁 포로로 수십 만의 백성이 청나라으로 끌려가 그 사회적 피해가 유례없이 막심하였음. 17. 효종(孝宗, 1619~1659) / 재위기간 : 1649~1659 / 휘 : 호 / 북벌론 북벌 계획(北伐計劃)은 효종이 병자호란의 민족적 치욕을 씻기 위해 청나라를 정벌하기 위해 세운 계획. 18. 현종(顯宗, 1641~1674) / 재위기간 : 1659~1674 / 휘 : 연 / 예송논쟁 예송논쟁은 현종대에 일어난 사건으로 효종과 효종 비 인선왕후의 죽음에 따른 장렬왕후의 복상기간을 둘러싼 서인과 남인의 2차에 걸친 논쟁임. 예송은 상복을 입는 기간을 둘러싸고 벌인 서인과 남인의 논쟁이지만, 이것은 단순히 상복만의 문제가 아닌 당시의 성리학, 효종의 정통성, 왕권과 신권의 관계 등에 대한 중대한 정치 문제였음. 19. 숙종(肅宗, 1661~1720) / 재위기간 : 1674~1720 / 휘 : 광 → 순 / 환국정치 숙종은 왕권 안정을 위해 붕당을 자주 교체하는 방식을 택하였는데 이를 '환국'이라 함. 환국정치는 군주가 내각을 자주 교체하여 신하들의 충성심을 경쟁시키고 왕권을 강화하는 방법. 20. 경종(景宗, 1688~1724) / 재위기간 : 1720~1724 / 휘 : 윤 / 장희빈 아들 경종의 생모인 장씨는 왕비가 되었으나 5년 후에 갑술환국(甲戌換局)이 일어나면서 정권 교체로 왕비는 다시 희빈으로 강등됨. 이후 인현왕후가 다시 복위했으나 인현왕후가 죽음을 맞이함. 장희빈은 인현왕후를 저주했다는 이유로 1701년(숙종 27) 사사(賜死)당하였다. 장희빈의 죽음으로 죄인의 아들이 되어버린 경종은 왕이 되기에 어려움을 겪고, 왕이 되어서도 마음의 병을 갖고 살아감. 21. 영조(英祖, 1694~1776) / 재위기간 : 1724~1776 / 휘 : 금 / 탕평책 영조·정조 때 왕권을 강화하고 붕당간의 과열된 정쟁을 지양하기 위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인사 정책을 추진하고 각 정치 세력 간의 균형을 유지하려 실시한 정책. 영조의 탕평책을 상징하는 궁중요리로 탕평채(蕩平菜)가 만들어지기도 함. 22. 정조(正祖, 1752~1800) / 재위기간 : 1776~1800 / 휘 : 산 / 수원화성 어린 나이에 아버지(사도 세자)를 여읜 정조는 왕위에 오른 후에 아버지의 묘를 더 좋은 곳으로 옮기기로 함. 정약용과 함께 지금의 수원에 계획도시를 만드는데 이곳이 수원화성임. 23. 순조(純祖, 1790~1834) / 재위기간 : 1800~1834 / 휘 : 공 / 세도정치(안동 김씨) 세도 정치란, 왕실의 외척과 같은 특정한 가문이 정치 권력을 독점하는 비정상적인 정치를 말함. 순조 때에는 김조순이 왕비의 아버지로서 정치의 실권을 장악하였는데, 이에 따라 그 일가인 안동 김씨들이 주요 관직을 독점하여 세도를 잡음. 24. 헌종(憲宗, 1827~1849) / 재위기간 : 1834~1849 / 휘 : 환 / 세도정치(풍양 조씨) 헌종은 8세의 어린 나이에 즉위함에 따라 왕의 외할아버지인 조만영과 그의 동생 조인영이 실권을 잡아 풍양 조씨가 세도를 누림. 25. 철종(哲宗, 1831~1863) / 재위기간 : 1849~1863 / 휘 : 변 / 세도정치(안동 김씨) 헌종이 후사없이 죽자 대왕대비 순원황후의 명으로 즉위함. 김문근(金汶根)의 딸을 왕비로 맞아들여 안동 김씨의 세도정치가 시작되고, 각종 민란도 많았으며 병으로 죽음. 26. 고종(高宗, 1852~1919) / 재위기간 : 1863~1907 / 휘 : 형 / 을사늑약 고종은 조선의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을사늑약은 1905년 11월 17일 일본 제국이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기 위해 강제로 체결한 불평등 조약. 27. 순종(純宗, 1874~1926) / 재위기간 : 1907~1910 / 휘 : 척 / 마지막 왕 순종은 대한제국의 제2대 황제이자 조선 제27대 마지막 왕. 또한 현재 기준 한국사상 마지막 군주. 1910년 일본에 나라를 빼앗겨 일제시대를 보내게됨. 이왕(李王)으로 불림. #조선 #조선왕조실록 #ai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