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랜선이모·랜선집사 열풍…SNS를 통해 애정 쏟는 이유는? / YTN 사이언스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랜선이모·랜선집사 열풍…SNS를 통해 애정 쏟는 이유는? / YTN 사이언스 6 лет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랜선이모·랜선집사 열풍…SNS를 통해 애정 쏟는 이유는? / YTN 사이언스

■ 이동귀 /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앵커] 요즘 SNS에서는 웬만한 연예인 만큼이나 각종 반려동물, 또 귀여운 어린아이가 스타로 떠오르고 있다는데요. 때문에, 간접적으로 이들에게 애정을 주는 랜선 이모, 랜선 집사가 늘고 있다고 합니다. 네, 그래서 오늘 (생각연구소)에서는 랜선 열풍을 심리학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이동귀 교수와 함께합니다. 어서 오세요. 저는 육아 프로그램도 즐겨 보지만, 귀여운 동물이 나오는 SNS 콘텐츠를 진짜 좋아하거든요. 혹시 교수님도 좋아하시는 SNS 콘텐츠 있으신가요? [인터뷰] 저는 취미가 바둑이라서 바둑 동영상 보고요. 가끔 YTN Science 생각연구소 동영상 제대로 나오고 있나 보고 있습니다. [앵커] 셀프 홍보하시는군요. 오늘 주제가 랜선 이모, 랜선 집사, 저 같으면 랜선 삼촌 정도 될 것 같은데, 이게 주제잖아요. 온라인에서나 TV를 통해 귀여운 아기나 동물을 즐겨 보는 사람을 말하는 것 같은데, 정확히 어떤 사람들을 일컫는 말인가요? [인터뷰] 랜(LAN)선은 아시죠? 인터넷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선이고요. 그 랜선에 이모를 합쳐서 '랜선 이모', 삼촌을 붙이면 '랜선 삼촌', 엄마를 붙이면 '랜선 맘' 이렇게 되는 거죠. 이런 게 뭐냐면 주로 SNS나 블로그, 유튜브에서 다른 집 아이이긴 한데 너무 귀여운 거예요. 그걸 지켜보면서 마치 내가 이모가 된 것처럼, 삼촌인 것처럼 느끼는 분들을 지칭하는 말이라고 하네요. 이게 사실 유명한 아이들 사이트에는 댓글이 수천 개씩 달려요. '너무 예쁘다' 심지어 '발톱까지 예쁘다, 저 아이가 내 딸이라면 얼마나 좋을까?' 이런 것들이 거의 열광적으로 마치 아이돌 보듯이 댓글이 달립니다. [앵커] 또 아기들 말고도 귀여운 동물들이 SNS 스타가 되기도 하는데요. 그래서 관련 영상을 준비해봤습니다. 함께 보시죠. 수영장에서 수영하는 강아지 모습이네요. 얼핏 봐도 '좋아요' 수가 엄청나요. 이 고양이는 발을 핥는데 인기가 많습니다. 이 강아지는 혼자 뒹굴고 있는데, 보기만 해도 흐뭇해지는 영상입니다. 진짜 키우는 듯한 느낌도 들고요. 이렇게 귀여운 영상 살펴봤는데, 저도 가끔 보면서 '좋아요'를 누르곤 하는데요. 요즘 들어서 이런 랜선 열풍이 인기잖아요. 왜 그런 걸까요? [인터뷰] 아까 랜선 이모 말씀드렸는데, 이렇게 강아지라든지 반려동물들을 지켜보는 거를 좋아하는 분들을 랜선 집사라고 해요. 집사는 사실 온라인에서 고양이를 기르는 사람을 가리키는 용어 중 하나였거든요. 그것과 붙여서 반려동물을 보면서 좋아하는 사람을 이야기하는데요. 실제로 보신 것처럼 아마 조회 수나 이런 게 엄청나잖아요. 그런데 제가 찾아보니까 실제로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강아지와 고양이가 있대요. 강아지 이름은 'Jiffpom'이라는 강아지인데요. 포메라니안 계통의 강아지인데, 실제 팔로워 숫자가 800만 명 가까이 된다고 하네요. 그리고 고양이 같은 경우는 'Nala'라는 고양이가 가장 유명한데요. 아마 샴 고양이의 일종인가 봐요. 그래서 350만 명에 가까운 팔로워가 있다고 하네요. 이 두 반려동물이 1,000만 명이 넘는 팔로워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앵커] 1,000만 명이 넘는다고요? 저희와 비교도 안 되게 인기가 많네요. [인터뷰] 아까 질문하신 것처럼 왜 이렇게 이런 열풍이 있는가에 관심이 있는데, 아마 제 생각에는 1인 가구의 증가와 관련이 있지 않은가 싶어요. 실제로 2015년에 보면 우리나라의 1인 가구 수가 520만 명 정도, 그 당시 전체...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cience.ytn.co.kr/program/prog...

Comments